본문 바로가기

독서요약

"아주 작은 습관의 힘" 독서요약 처음 ~ 119p

반응형

 

습관 아카데미 : habitsacademy.com

저자 블로그 : Jamesclear.com

 

지금 당장 어떤 방법이 성공적이든 성공적이지 않든 그것이 중요하진 않다. 중요한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습관이 "성공으로 가는 경로"에 있느냐는 것이다. 현재 일어난 결과보다 지금 어디에 서있느냐가 더 중요하다. 

 

① 지금 내가 어디에 있지? 

② 어디로 가지?

 

※ 내 습관들이 현재 어떤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! 

 

 

좋은 습관은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들지 만 나쁜 습관은 시간을 적으로 만든다.

습관 + 시간 = 결과(성공or실패)

 

좋은 습관을 세우느라, 또는 나쁜 습관을 버리느라 고군분투하고 있다면 이는 진전이 없는게 아니라 아직 잠재력 잠복기를 넘어서지 못한 것일 뿐이다.

 

ex) 얼음이 영하 4도 → 영하 1도 까지는 변화가 없다. → 영하 0도가 되면 "갑자기" 녹기 시작한다.

 

모르는 사람들은 영하 1도에서 영하 0도가 되어 얼음이 녹는 그 순간만 본다.

즉, 변화는 수년에 걸쳐 진행되다가 어느 한순간 일어난다.

 

"악기 연주자의 목표"

- 몇번 연습할 것인가?

- 어떻게 틀을 깨고 다른 방식으로 연주할 것인가?

- 배운 내용을 어떻게 나만의 것으로 소화할 것인가?

 

 

목표 방향 설정 용도!
시스템  결과를 만들어 냄

 

더러운 방 → 목표 : 다 치우기 → 깨끗한 방 → 몇일 뒤 → 다시 더러운 방 

 

목표를 달성하는 것 : 한순간

개선 : 시스템 단계에서 입력값을 바꾸는 것 

 

 

장기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목표 설정보다는 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. 즉, '과정'에 전념하는 것이 '발전'을 결정한다.

 

① 지금 내가 어디에 있지? (정체성)

② 어디로 가지? (결과)

③ 어떤 방법으로 가지? (과정)

 

 

습관을 바꾸기 어려운 이유 2가지 

 

① 변화시키고자 하는 대상이 잘못 되었다.

② 변화의 방식이 잘못되었다.

 

 

 

  변화시키고자 하는 대상 설정하기 

 

정체성을 변화시키는 것이란 우리의 "믿음"을 변화시키는 것이다. 세계관, 자아상, 자신과 타인에 대한 판단, 편견, 가설 등이 있다. 

 

ex) 금연하는 두사람에게 누가 담배를 권했다. 

A : "괜찮아요. 저 담배 끊었어요"

B : "괜찮아요. 저 흡연자 아니에요"

 

A는 결과 중심으로 습관을 형성하고 있는 사람이고, B는 정체성 중심으로 습관을 형성하고 있는 사람이다.

 

※ 스스로를 바라보는 방식을 바꾸지 않고는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. 

"나는 이런 것을 '원하는' 사람이야"라고 말하는 것은 "나는 '이런' 사람이야"라고 말하는 것과는 매우 다르다.

 

- 목표는 '책을 읽는 것'이 아니라 '독서가가 되는 것'이다.

- 목표는 '마라톤을 하는 것'이 아니라 '달리기는 하는 사람이 되는 것'이다.

- 목표는 '악기를 배우는 것'이 아니라 '음악을 하는 사람이 되는 것'이다.

 

 

자주 반복하는 습관은 정체성에 대한 증거가 되고, 정체성은 습관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. 

 

모든 행동이 내가 되고자 하는 어떤 유형을 제시한다.

자신을 바꾸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자신이 하는 일을 변화시키는 것이다.

 

- 글을 한 페이지 쓰는 매 순간 나는 글을 쓰는 사람이다.

- 바이올린을 연습하는 매 순간 나는 음악 하는 사람이다.

- 운동을 시작한 매 순간 나는 운동하는 사람이다.

- 직원들의 힘을 북돋는 매 순간 나는 리더다.

 

 

 변화하는 방법 

1.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결정한다.

2. 작은 성공들로 스스로에게 증명한다.

 

"내가 원하는 결과를 얻은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?"

 

- 20kg을 감량한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?

- 새로운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?

- 성공적인 스타트업을 운영할 수 있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?

 

ex) 책을 쓸 수 있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? (결과)

→ 꾸준하고 믿을만한 사람 (정체성)

- 나는 학생들을 지지하는 선생님이 될거야.

- 나는 환자 한 사람, 한 사람에게 필요한 시간과 배려를 제공하는 의사가 될거야.

- 나는 직원들의 생각을 대변하는 관리자가 될거야.

 

※ 초점은 늘 어떤 사람이 되는 것이지, 어떤 결과를 얻어 내겠다는데 있으면 안된다.

 

습관은 우리가 근본적으로 뭔가를 얻어내는 일이 아니다. 습관은 어떤 사람이 '되는'일이다.

반응형